음악사 탐구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음악사 5] "음악 형식과 분석 2" 과목 중간고사 자유롭게 회고하고 반성하기 이번 학기 중세, 르네상스 음악 공부 중이다. 근데 진짜 별로다.1. 중세 음악이 노잼인 이유(1) 지나치게 완전협화음정 중심 중간고사 기간에 배우던 중세 음악은 불협화음과 협화음 적절히 밀당해야 재밌는데 완전협화음(*물론 2성부 병행 오르가눔 등에서 등장하는 완전4도는 불협화음정이지만 우선은 완전협화음정이라고 하자)만 내리 나와 노잼이었다. 기말 범위 배우는 지금은 중세 음악 끝나고 점차 불완전 협화음 섞는 르네상스 음악 나오니 좋다. 중세 음악의 '노잼성'은 중세 말기엔 좀 나아졌다고 하지만 거기서 거기였다. 중세 초기랑 중기 음악은 들으면 들을 수록 진짜 별로였다. (2) 종교 리츄얼의 기능 옛날 라틴어 가사 가진 성가 악보는 예술이 아니라 "종교 리추얼 메뉴얼"이라고 말해도 크게 틀린 말은 아니다.. [음악사 4] 고음악 음가 기보의 기호학 I. 들어가며: "악보는 음악이 아니다." "악보는 음악이 아니다"라는 말이 있다. 연주 실제, 공연 맥락 등을 악보가 담아내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말은 역설적으로 음악에서 악보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전통적으로 서양 문화권에서 작곡, 작곡가, 작품을 중시 여긴 나머지 이를 드러내는 악보와 음악을 하나인 양 취급한 점을 방증하기 때문이다. 나는 서양음악에 있어 기보의 역사를 공부하고자 한다. 특별히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의 종교음악과 모테트를 중심으로 작곡가들이 시기별로 음가, 리듬을 어떻게 표기했는가에 관해 추적하고 이를 오늘날 기보과 비교하고자 한다. 이때 기보법 변화의 과정에서 일관된 흐름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를 영미권 기호학의 창시자인 찰.. [음악사 3] 중세 세속음악 중 정형시에 관한 단상 I. 들어가며: 음악 공부의 생각보다 많은 문제는 악보를 직접 보면 풀린다. 내가 가장 난해해한 것 중 하나가 중세 세속 음악의 정형시 형식을 외우는 것이다. 정형시 형식은 음악과 가사의 짜임새를 기준으로 나눈다. 기존 세속 음악이 가사의 내용을 기준으로만 분류했던 것에서 정형시를 기점으로 음악의 짜임새, 음악과 가사 사이의 관계로 분류 기준이 바뀌었다. 이런 점을 볼 때 정형시는 음악적 응집성이 높은 세속음악으로 음악사적인 가치가 있는 장르다. 정형시 형식의 대표적인 예시가 몇 가지 있다. 이때 형식의 짜임새를 알파벳 문자를 이용해서 표현한다. 나는 이를 공부하는 게 너무도 단순 주먹구구 암기라고 생각해서 도저히 머리에 들어오지 않았다. 그러던 차에 이번 수업에서 직접 악보를 보고 정교하게 해석한다면 .. [음악사 1] 내가 음악사에서 생각하는 가장 위대한 작곡가 1. 서론: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위대한' 작곡가우리는 음악사에 있어서 위대한 작곡가라고 하며 이전 시대와는 완전히 다른 독창적인 음악을 작곡하고 이후 시대의 새로운 지평을 연 사람을 흔히 위대한 작곡가라고 합니다.2. 대표적 예시: 드뷔시, 쇤베르크, 베토벤대표적으로 드뷔시, 쇤베르크, 베토벤 그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드뷔시의 경우에는 20세기 초에 탈조성 탈 형식을 추구하면서 현대 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쇤베르크 역시 기존의 조성음악에서 탈피하면서 무조 음렬기법, 그리고 이후에 총렬음악으로 이어지는 현대 음악을 연 점, 베토벤도 고전시대의 기악 형식을 종합하여서 그 낭만으로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는 점에서 이들을 위대하고 혁신적으로 평가합니다.3. 과연 '위대한' 작곡가로.. [음악사 2] 중세 세속음악의 서술에 관한 단상 I. 들어가며: '서구 중세 세속 음악'한 문화권에서 음악을 어떻게 분류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여러 가지다. 쓰임새, 악기, 화성 등 여러 가지 기준이 있을 수 있다. 어떤 문화권에서 그 음악을 의미 있게 분류하기 위해서는 기준을 잘 정립하려는 것이 필요한데, 역으로 한 문화권에서 음악을 나누는 기준을 살펴보면 그 사회에서 음악을 바라보는 데 있어서 무엇을 중요시하는가를 생각해 볼 수 있다.서양 중세 음악을 공부하려 한다. 서구 중세 시대는 기독교의 영향력이 막강했던 때이다. 그런 만큼 종교와의 연관 속에서 음악을 나눈다. '이 음악이 종교적 가사를 가지는가? 그렇다면 미사의식에 쓰이느냐 아니면 그렇지 않느냐? 혹은 애초에 종교와의 관련성 속에서 이해되지 않은 음악인가'을 질문을 던지며 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