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8)
국악 I. 들어가며: 중간고사 민요 공부하기 결국 이번 학기 국악 수업 중간고사 범위의 키워드는 성악이다. 성악이란 가사가 있는 인성 음악을 이야기한다. 특별히 국악은 서양 클래식 음악과 다르게 그 음악에 있어서 어떤 계층의 집단이 향유하냐에 따라서 세밀하게 분류 하는데, 성악에서도 마찬가지다. 오늘은 특별히 기층민들을 향유하던 성악인 민요를 공부해 정리할 것이다. II. 민요에 대하여 먼저 기층민이 향유하던 성악인 민요는 지역성, 가창 방식, 기능을 중심으로 논의하면 된다. 1. 분류 민요는 지역에 따라서 그 음악을 구성하는 요소가 차이가 있다. 특별히 이를 토리라고 부르는데 선법과 시김새 그 통해서 구체화된다. 민요는 엄밀히 얘기해서 전문 음악인에 의해서 연행되는 통속민요와 비전문 음악인에 의해서 연행되는..
[음악사 4] 고음악 음가 기보의 기호학 I. 들어가며: "악보는 음악이 아니다." "악보는 음악이 아니다"라는 말이 있다. 연주 실제, 공연 맥락 등을 악보가 담아내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말은 역설적으로 음악에서 악보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전통적으로 서양 문화권에서 작곡, 작곡가, 작품을 중시 여긴 나머지 이를 드러내는 악보와 음악을 하나인 양 취급한 점을 방증하기 때문이다. 나는 서양음악에 있어 기보의 역사를 공부하고자 한다. 특별히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의 종교음악과 모테트를 중심으로 작곡가들이 시기별로 음가, 리듬을 어떻게 표기했는가에 관해 추적하고 이를 오늘날 기보과 비교하고자 한다. 이때 기보법 변화의 과정에서 일관된 흐름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를 영미권 기호학의 창시자인 찰..
[음악사 3] 중세 세속음악 중 정형시에 관한 단상 I. 들어가며: 음악 공부의 생각보다 많은 문제는 악보를 직접 보면 풀린다. 내가 가장 난해해한 것 중 하나가 중세 세속 음악의 정형시 형식을 외우는 것이다. 정형시 형식은 음악과 가사의 짜임새를 기준으로 나눈다. 기존 세속 음악이 가사의 내용을 기준으로만 분류했던 것에서 정형시를 기점으로 음악의 짜임새, 음악과 가사 사이의 관계로 분류 기준이 바뀌었다. 이런 점을 볼 때 정형시는 음악적 응집성이 높은 세속음악으로 음악사적인 가치가 있는 장르다. 정형시 형식의 대표적인 예시가 몇 가지 있다. 이때 형식의 짜임새를 알파벳 문자를 이용해서 표현한다. 나는 이를 공부하는 게 너무도 단순 주먹구구 암기라고 생각해서 도저히 머리에 들어오지 않았다. 그러던 차에 이번 수업에서 직접 악보를 보고 정교하게 해석한다면 ..
[음교 2] 증6화음을 들을 때의 긴장감이 느껴지는 하루였다 I. 들어가며: 베넷 리머의 절대표현주의 음악교육 철학 존 듀이가 일상에서 느껴지는 긴장의 이완의 도식과 예술 작품에서 느낄 수 있는 긴장과 이완 흐름 사이의 연속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존 듀이의 영향을 받은 현대음악교육철학자 베넷 리머는 좋은 음악 작품은 음악에서 느낄 수 있는 긴장과 이완의 느낌 도식과 일상에서의 긴장과 이완의 느낌 도식이 완전히 일체화되어있고 공교육 음악교습의 목적은 음악에서 이러한 느낌의 흐름을 잘 느낄 수 있는 사람을 양성하고 결과적으로 일상에서도 감수성 예민하게 느낌을 잘 감지하는 사람을 만드는 거라고주장한다.  과연 나는 베넷리머의 말대로 음악에서의 긴장과 이완의 흐름으로서의 느낌과 일상에서의 긴장과 이완의 흐름으로서의 느낌이 일체화할 수 있는지 궁금해서 '친구와 한강에 놀러..
[자유 13] 한국 역대 대통령 선거의 감각정치 그리고 예술인류학 I. 들어가며 나는 참 엉뚱하다. 달 보다는 그걸 가리키는 손가락에 더 관심이 많은 편이다. 정치에서도 마찬가지다. 난 남들이 정책에 관심을 가질 때 선거에서 동원하는 프로파간다 전략에 더 눈길이 간다. 역대 한국 대통령 선거를 보면 대중의 감각을 자극하는 요소를 동원하는 프로파간다 전략이 많았다. 이 가운데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문재인, 윤석열(이하 각각 DJ, 노, MB, 문, 윤으로 칭함) 당시 대선 후보의 사례가 인상 깊었는데 이들의 감각정치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II. 본론1: 초기 (DJ~MB) 1. 좌파진영: 춤과 음악 전통적으로 좌익 진영은 선전 선동에 있어 음악을 동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1) DJ: DJDOC와 함께 춤을 DJ는 자신의 이름 약자와 비슷한 예명을 가진 DJDOC라..
[음교 1] 뜀걸음 군가 제창은 가장 훌륭한 음악교육 I. 들어가며: 장교 출신 교사의 아이디어 한 장교 출신 교사께서 흥미로운 주장을 하나 했다. 자기가 생각한 음악 수업은 군대에서 아이디어를 얻을만 하다는 것이다. 즉 병사들이 아침에 뜀뛰기를 하며 군가를 제창하곤 했는데 이것이 음악 교육이 아니면 뭐냐는 것이다. 우스갯 소리로 나온 주장이지만 상당히 음악 교육 전공자로서 인상 깊었다. 나는 그의 주장이 플라톤의 음악 교육 사상과 연관지어서 논의될 수 있다고 생각을 하고, 이후에 내가 음악 학교에서 자유롭게 교육 방법과 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입장이라면 어떤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지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II. 플라톤의 음악교육 사상과 여지원의 음악교육 1. 플라톤의 음악교육 사상: 에토스론, 지덕체 (1) 에토스론, 한탄조 음악 검열 플라톤은 음악이 인..
[국악 4] 시나위 분석 I. 들어가며: 이번 년도에 많은 종교음악을 배웠다. 1. 종교음악: 천주교, 개신교, 유교, 무교 시간이 꽤 흐른 뒤 이번 년도를 회상하면 “종교음악의 해”로 이름 붙일 것 같다. 서로 다른 과목에서지만 이번 학기 수업에선 모두 종교음악 양식을 배우기 때문이다. ‘음악형식과 분석II’과 ‘대위법‘에선 가톨릭 음악 양식을 가르치는데 각각 중세와 16세기의 것이다. ‘합창합주‘에선 흑인 영가를 부르며, ‘국악개론1’에선 국가적인 유교 제사를 거행할 때 연주하는 음악인 종묘제례악을 가르친다. 가톨릭, 개신교, 유교라는 주요 종교의 음악만 배운 것이 아니다. 무속 음악과 그 영향을 받은 음악도 배웠는데 ‘혁신적 음악교육 세미나’에선 시나위를 다뤘다. 이를 통해 천주교, 개신교, 유교, 무(巫)교의 다양한 종교..
[자유 12] 이공계가 부러운 이유 I. 들어가며: 이공계 나는 절대음감이다. 그리고 이공계가 부럽다. II. 본론 1. 절대음감을 가진 나는 음악을 어떻게 듣는가? 절대음감을 가진 나는 서구 예술음악을 들을 때 머릿속으로 악보가 그려진다. 불협화음과 협화음, 긴장과 이완으로 조화를 이루며 밀고 당기는 음의 연속을 머릿속으로 악보로 그릴 때 희열을 느낀다. 2. 악보란 무엇인가? 나는 악보를 좌표 평면이라고 생각한다. 특별히 서양의 오선보는 가로축은 박자, 리듬 등 시간, 세로축은 음 높이를 가진 좌표 평면이다. 그렇다면 비유적 의미가 아닌 실제 좌표 상 그래프를 머릿속으로 떠올리는 이공계가 궁금하다. 3. 이공계는 수를 어떻게 느낄까? 마치 내가 악보를 보고 긴장, 이완, 불협화, 협화, 운동, 정지의 음이 떠오르듯이 그들은 단순한 몇 ..

반응형